[논문통계분석] 편상관관계 분석 및 해석하는 방법 완벽이해하기, 편상관관계분석 강의_퀵데이터
▣ 편상관분석

●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사이에 강한 양의 관계는 학습태도가 좋으면 학업성취도가 증가하는 경향
● 부모교육수준이 관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통제하고 순수한 관계 파악
■ 분석 – 상관분석 – 편상관 – 변수(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제어변수(부모교육수준) – 옵션(0차 상관)
■ 부모교육수준을 통제했을 때
● 부모교육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간의 순수한 상관계수는 0.791로 유의함
● 즉,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간 관계는 부모교육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음
● 부모교육수준과 관계없이 학습태도가 좋으면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
■ 학습태도를 통제했을 때
● 학습 태도의 영향을 배제할 때 학업성취도와 부모교육수준의 상관관계는 거의 0에 가까울 정도로 작아지고 유의하지 않음(r=.063, p=0.258)
● 즉, 학업성취도와 부모교육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학습 태도의 차이에 기인함
● 학업성취도와 부모교육수준 간의 순수한 상관관계는 없음
▣ 경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동시에 통제했을 때 (2차 편상관관계)
■ 경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동시에 통제했을 때
● 지속사용의도는 모든 변수와 모두 높은 정(+)의 연관성이 있음
● 경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동시에 통제했을 때 전반적으로 모든 상관계수가 크게 감소하는데 두 가치의 변수가 다른 변수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
● 가치 변수가 다른 변수들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는 비교적 가치의 영향을 적게 받음(r=0.785 -> 0.658)
편상관계수는 변수 간에 개입된 제3의 변수를 식별해서 허위 상관관계를 찾거나 숨겨진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든 것처럼 편의점수와 교통사고 수의 관계는 허위 상관으로 인구수를 통제할 경우 두 변수 간의 상관은 없어진다. 특히 이런 경우에는 편상관계수가 매우 낮아질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밀키트식품에 대한 구매필요성과 구매의도 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때 소득을 고려한다면 소득과 구매필요성 간에는 부적인 상관이 나타나고 소득과 구매의도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소득을 통제하고 편상관분석을 하면 정적인 선형관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는 제3의 변수인 소득으로 인해 구매필요성과 구매의도 간 관계가 드러나지 않아 숨겨진 새로운 관계를 찾아낼 수도 있는 것이다.
편상관관계 구하는 방법_ 퀵데이터 논문통계강의로 확인하세요▼▼▼
"논문의 품질을 높이는 열쇠!!!
퀵데이터 논문통계분석을 통해 더욱 탄탄한 논문을 완성하세요."
퀵데이터 논문컨설팅은 논문 주제 선정부터, 연구모형, 통계분석, 심사 준비까지 전문 지도 박사님의 1:1 맞춤형 컨설팅 통해 효율적이고 빠른 논문작성을 도와드립니다. 논문 검토, 논문편집, 논문 통계분석까지 직접적인 컨설팅을 원한다면 퀵테이터에 문의하세요 상담문의 1600-7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