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자료/논문연구이론

사회적 지지 연구의 발전과 측정도구: 이론에서 실무까지

퀵데이터 2025. 6. 24. 20:39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웰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단순히 주변에 사람이 많다는 것을 넘어서, 실제로 의미 있는 지원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 개인의 건강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합니다. 사회적 지지 개념의 발전 과정과 주요 측정도구들을 학술적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는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도움을 의미하며, 정신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보호 요소로 작용합니다.

 

사회적 지지 개념의 이론적 기초

초기 이론적 틀의 구축

사회적 지지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1980년대 Berkman(1984)의 선구적 연구에서 시작됩니다. Berkman(버크만)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며, 사회적 지지가 질병 예방과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회적 관계의 존재를 넘어서 기능적 특성에 주목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Berkman(1985) Assessing the physical health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다차원적 구성개념으로서의 사회적 지지

현재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개인이 사랑받고 돌봄을 받는다고 느끼게 하는 지지로, 공감, 격려, 위로 등을 포함합니다.
  • 도구적 지지(Instrumental Support):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지지로, 물질적 자원, 서비스, 시간 제공 등이 해당됩니다.
  • 정보적 지지(Informational Support):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조언, 지침을 제공하는 지지입니다.

이러한 다차원적 접근은 사회적 지지의 복합적 성격을 반영하며, 개인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측정도구의 발전 과정

초기 측정도구: Duke-UNC FUSSR

사회적 지지의 체계적 측정을 위한 초기 시도 중 하나는 Broadhead(브로드헤드) 등(1988)이 개발한 Duke-UNC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입니다. 이 도구는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기능적 사회적 지지 측정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구성: 초기 14문항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8문항으로 축소
  • 하위척도: Confidant support(신뢰할 수 있는 지지)와 Affective support(정서적 지지)
  • 의의: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을 측정하는 선구적 도구로서의 역할

그러나 시대적 변화와 함께 보다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측정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현대적 측정의 표준: MSPSS

Zimet 등(1988)이 개발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중 하나입니다.

 

MSPSS의 구조적 특성

MSPSS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다음 세 가지 지지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합니다.

  • 가족으로부터의 지지: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받는 지지

나의 가족은 저를 정말 도와주려고 노력합니다. (My family really tries to help me.)

나는 가족으로부터 필요한 정서적 도움과 지지를 얻습니다. (I get the emotional help and support I need from my family.)

나는 가족과 저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I can talk about my problems with my family.)

나의 가족은 제가 결정을 내리는 것을 기꺼이 도와줍니다. (My family is willing to help me make decisions.)

  • 친구로부터의 지지: 친구 관계에서 얻는 지지

나의 친구들은 저를 정말 도와주려고 노력한다. (My friends really try to help me.)

상황이 나빠질 때 나는 친구들을 믿을 수 있다. (I can count on my friends when things go wrong.)

나의 기쁨과 슬픔을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있다. (I have friends with whom I can share my joys and sorrows.)

나는 친구들과 저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I can talk about my problems with my friends.)

  •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지지: 배우자, 연인 등 특별한 의미를 갖는 사람으로부터의 지지

내가 필요할 때 옆에 있어 주는 특별한 사람이 있습니다. (There is a special person who is around when I am in need.)

나의 기쁨과 슬픔을 나눌 수 있는 특별한 사람이 있습니다. (There is a special person with whom I can share my joys and sorrows.)

나에게 진정한 위안이 되는 특별한 사람이 있습니다. (I have a special person who is a real source of comfort to me.)

나의 감정을 신경 써주는 특별한 사람이 제 삶에 있습니다. (There is a special person in my life who cares about my feelings.)

지각된 사회적 지지 다차원 척도(MSPSS)의 문항별 및 하위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

 

심리측정학적 우수성

MSPSS의 학술적 가치는 다음과 같은 심리측정학적 특성에서 확인됩니다.

  • 높은 내적 신뢰도: 다양한 연구에서 일관되게 높은 Cronbach's α 값을 보고
  • 측정 불변성: 성별, 연령, 문화적 배경에 따른 측정 불변성이 검증됨
  •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관련 구성개념들과의 적절한 상관관계 확인
  • 임상적 적용성: 암 환자, 정신건강 장애 등 다양한 임상 집단에서의 타당도 검증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MSPSS는 국제적으로 사회적 지지 연구의 표준 도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측정도구의 확장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 사회적 지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온라인 상호작용의 증가에 따라, 전통적인 대면 사회적 지지를 넘어선 새로운 형태의 지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Nick 등(2018)은 Online Social Support Scale을 개발하였습니다.

 

온라인 사회적 지지 척도의 특징

  • 이론적 기반: 전통적인 사회적 지지 유형(자존감/정서적 지지, 사회적 동반,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을 온라인 환경에 맞게 재구성
  • 차별적 타당도: 온라인 플랫폼 유형별 차별적 관련성 확인
  • 보호적 기능: 온라인 피해 경험을 완화하는 기능 검증

이는 현대 사회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적 지지 연구의 확장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발전입니다.

 

1. 존중/정서적 지지 (Esteem/Emotional Support) 10개문항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나에게 관심을 보여준다. (People show that they care about me online.)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나 자신에 대해 좋게 느끼게 해주는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한다. (Online, people say or do things that make me feel good about myself.)

외 8개 문항

2. 사회적 동반자 관계 (Social Companionship) 10개문항

온라인에서 나는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거나 활동한다. (When I’m online, I talk or do things with other people.)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나와 시간을 보낸다. (People spend time with me online.)

외 8개 문항

3. 정보적 지지 (Informational Support) 10개 문항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나에게 유용한 조언을 해준다. (When I’m online, people give me useful advice.)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Online, people provide me with helpful information.)

외 8개 문항

4. 도구적 지지 (Instrumental Support) 10개 문항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필요하면 돈이나 다른 것을 도와줄 것이다. (People online would help me with money or other things if I needed it.)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나의 학업이나 일을 도와준다. (When I’m online, people help me with school or work.)

외 8개 문항

 

Nick et al.(2018).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실용적 적용을 위한 간략화: BS6

대규모 인구집단 연구나 임상 현장에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Brief Social Support Scale(BS6)는 간략화된 측정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BS6의 구성과 장점

  • 구성: 6문항으로 구성된 간략한 형태
  • 하위요인: 정서적 지지와 실질적 지지(감정적·도구적)의 2요인 구조
  • 심리측정학적 특성: 높은 신뢰도 및 타당도 확인
  • 실용적 가치: 사회조사 등 간편한 적용 환경에 적합

 

1. 도구적 지지 (Tangible support) 문항

필요하다면 당신을 병원에 데려다줄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To take you to the doctor if you need it)

당신이 직접 식사를 준비할 수 없을 때, 당신의 식사를 준비해 줄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To prepare your meals if you are unable to do it yourself)

아플 때 일상적인 집안일을 도와줄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To help with daily chores if you were sick)

2. 정서-정보적 지지 (Emotional-informational support) 문항

위기 상황에 대해 좋은 조언을 해줄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To give you good advice about a crisis)

자신이나 자신의 문제에 대해 털어놓거나 이야기할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To confide in or talk to about yourself or your problems)

당신의 문제를 이해해주는 사람이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Who understands your problems)

 

Emotional and tangible social support in a German population-ased samp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rief Social Support Scale (BS6)

 

임상적 적용과 연구 확장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활용

사회적 지지 연구는 정신건강 영역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연구 결과들은 사회적 지지가 다음과 같은 보호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줍니다.

  • 스트레스 완충효과: 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
  • 우울증 예방: 특히 임신 여성의 산전 우울증 예측 및 예방에서의 역할
  • 회복력 증진: 정신건강 문제로부터의 회복 과정에서의 촉진 역할

 

신체건강과의 연관성

초기 Berkman의 연구에서 시작된 사회적 지지와 신체건강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왔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사회적 지지가 심혈관 질환, 면역 기능, 만성 질환 관리 등 다양한 신체건강 영역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

개념적 명료화의 필요성

사회적 지지 연구의 지속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개념적 정의의 불분명함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현재 학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의 개념적 재정의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구성개념의 명확한 경계 설정
  • 측정 차원과 이론적 구성개념 간의 일치성 확보
  •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개념적 확장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 대한 적응

인공지능, 가상현실,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등장은 사회적 지지의 형태와 전달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영역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 AI 기반 사회적 지지 시스템의 효과성
  • 가상 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지 경험
  • 하이브리드 형태의 사회적 지지 모델

 

사회적 지지 연구는 Berkman의 초기 이론적 작업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Duke-UNC FUSSR에서 MSPSS로, 그리고 온라인 환경과 간략화된 척도로의 확장은 시대적 요구와 연구 환경의 변화에 대한 학문적 적응을 보여줍니다.

특히 MSPSS의 경우 국제적으로 검증된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 연구의 표준 도구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연구 결과의 비교 가능성과 누적적 지식 구축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사회적 지지 연구는 개념적 명료화와 함께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지 형태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발전은 개인의 웰빙과 사회적 건강 증진에 더욱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적 지지는 단순한 학술적 관심사를 넘어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도전에 대응하는 실용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입니다. 지속적인 이론적 발전과 측정도구의 정교화를 통해 이 분야의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 더욱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퀵데이터는 연구자 맞춤형 논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사회적 지지처럼 이론적 배경이 중요한 주제일수록, 신뢰도 있는 이론 정리와 적절한 측정도구 선택이 핵심입니다.

지금, 퀵데이터와 함께 논문 완성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세요.

“당신의 연구를 빠르고 정확하게, 퀵데이터.”

문의 1600-7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