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계산 합 or 평균
변수 계산은 원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기존 변수를 가공하여 새로운 변수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하며 산술 및 다양한 함수 형태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변수들을 합하거나 평균을 낸다는 것은 리커트 척도로 된 여러 문항을 하나로 만들겠다는 의미이고, 회귀분석 등을 할 때 많이 이용되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변수들의 합 혹은 평균을 계산하여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설문지 중에 "업무 만족도"라는 변수가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업무 만족도의 변수에서 업무만족도1, 업무만족도2, 업무만족도3의 각 요인들의 질문이 있다고 한다면,
합의 변수계산은
변환 - 변수계산 - 새로운창에서 목표변수에 "업무만족도합"이라고 쓰고 - 함수집단에서 통계를 클릭 - 함수 및 특성변수에서 Sum클릭 - 숫자표현식에 "SUM(?,?)"이 나오는데 ?를 삭제한 후 - "SUM(업무만족도1, 업무만족도2, 업무만족도3)을 기입 - 확인
평균의 변수계산은
변환 - 변수계산 - 새로운창에서 목표변수에 "업무만족도평균"이라고 쓰고 - 함수집단에서 통계를 클릭 - 함수 및 특성변수에서 Mean클릭 - 숫자표현식에 "MEAN(?,?)"이 나오는데 ?를 삭제한 후 - "MEAN(업무만족도1, 업무만족도2, 업무만족도3)을 기입 - 확인
* SPSS는 띄어쓰기 하면 안됩니다. 아니면 ( _ )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eg. 업무만족도합(O), 업무만족도_합(O), 업무만족도 합(X),
이 외 변수 계산 방법으로 로그, 루트 등이 있어요.
그런데 어떤 경우에 로그, 루트로 변환하여 사용되는지 알려면 회귀분석이나 구조방정식의 정규분포를 이룬다는 가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보통 정규분포의 여부는 첨도와 왜도로 확인을 하게 되는데 정규분포를 이루지 않을 때 변수계산에서 로그나 루트로 바꿔주는 것이죠.
소득 등과 관련한 큰 숫자가 들어가는 변수에 주로 이용되는데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논문통계분석, 퀵데이터와 함께 시작하세요 ☎ 1600-7473
- 연구 주제에 맞는 분석 설계 및 타당성 검토
- 설문지 구조화 및 응답 데이터 정제
- 연구 목적에 적합한 통계 분석 및 결과 해석
- 논문 형식에 맞춘 표·그림 구성 및 결과 요약
- 문장 첨삭 및 논리 흐름 보완
'논문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_명목척도와 서열척도를 간격척도와 비율척도로 더미변환 알아보기_퀵데이터 (0) | 2021.05.28 |
---|---|
단순회귀분석 알아보기 _광고비와 매출액의 영향 관계는?_퀵데이터 (0) | 2021.05.18 |
빈도분석의 자세한 설명. 퀵데이터에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08.12 |
반복측정 분산분석!! 퀵데이터에서 알아보기 (0) | 2020.08.03 |
구조방정식(AMOS)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_CEO 오센틱리더십과 학습조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_심리자본 매개효과_퀵데이터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