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평균은 데이터들을 더해서 구합니다.
즉 덧셈의 합계를 데이터 수로 나눈 값이고 이것을 산술평균이라고 합니다.
반면, 기하평균은 데이터들을 곱해서 구하고 이는 증가율의 평균을 산출할 때 사용합니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예로 들어 볼게요.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5개의 데이터와 5개의 ㅁ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구해보겠습니다.
산술 평균
데이터의 합계 21을 데이터 수 5로 나눈 값이 산술평입니다.
결국 산술평균값을 ㅁ라고 하면 5개이 ㅁ를 더한 값과 원 데이터를 더한 값이 같아집니다.
기하 평균
5개의 ㅁ를 곱한 값이 데이터를 모두 곱한 값과 같다고 하고 ㅁ를 계산합니다.
이 경우 데이터를 곱한 값 32의 5제곱근을 구하면 기하 평균값이 됩니다.
증가율의 평균을 구하려면 기하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기하평균은 어디에서 사용할까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우리 회사 전년 대비 증가율(%) ?
해마다 늘어났기 때문에 덧셈을 사용해 산술평균을 구하면 될 것이라 생각되죠?
그러나 평균을 구하면 (21+69)/2=45(%)가 되는데 이 값은 매출 증가율의 평균이 아닙니다.
아래와 같이 증가율은 곱셈 계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기하평균을 구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2년 동안의 평균 매출 증가율은 43%가 되는 것입니다.
이상 퀵데이터에서 기하평균으로 평균 매출 증가율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논문자료 > 논문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편차 구하는 방법 쉽게 알아보기_퀵데이터 (0) | 2020.08.18 |
---|---|
데이터가 흩어진 정도 표준편차, 데이터 분석 기본기! 표준편차로 자료 분산 이해하기 (0) | 2020.08.18 |
[논문통계분석] 설문조사 데이터 코딩 방법과 역코딩 쉽게 이해하기 (SPSS & 엑셀 활용법) (0) | 2020.08.12 |
[논문통계분석] 설문지 타당도 검정, 요인분석으로 시작하세요. (0) | 2020.08.12 |
논문통계분석에서 빠질 수 없는 SPSS 신뢰도 검정법 (0) | 20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