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연구계획서 피드백은 받았는데 뭐부터 고쳐야 하나요?"
연구계획서 발표가 끝나고 교수님들의 피드백을 받았는데, 어디서부터 수정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특히 양적연구 논문을 처음 쓰는 분이라면 '이건 바꾸고 저건 유지해도 되는 건가?' 고민만 하다가 시간을 놓치기 십상입니다.
◎ 논문연구계획서 수정 단계
1단계: 피드백을 분류하세요 (이론 vs 방법)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피드백 내용을 범주화하는 것입니다. 보통 피드백은 아래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구분
|
예시
|
이론/모형 관련
|
연구주제 명확화, 변수 재정의, 선행연구 추가, 가설 재설계 등
|
방법/분석 관련
|
표집 계획 수정, 설문 문항 조정, SPSS 분석방법 변경 등
|
Tip: 이론 관련 수정은 본문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고, 방법 관련 수정은 실무 작업(설문지 설계, 코딩 등)에 직결됩니다.
2단계: '연쇄 수정'의 시작점을 찾아라
논문연구계획서 수정은 전체 연결고리의 앞단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특히 양적 논문에서는 다음 순서를 따라야 전체 구조가 자연스럽게 수정됩니다.
연구주제 → 이론적 배경 → 변수/가설 설정 → 연구모형 → 연구방법 → 측정도구/분석계획
예를 들어, 교수님이 "이 변수 정의가 애매하다"라고 했다면, 해당 변수의 정의만 고치는 게 아니라 가설 문장, 연구모형, 설문 문항까지 점검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3단계: 연구계획서 수정 목록을 테이블로 정리해보세요
수정을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선, 피드백을 토대로 아래와 같은 '수정 계획표'를 만들어보세요.
피드백 내용
|
영향 받는 항목
|
수정 방향
|
변수 정의 모호함
|
연구모형, 가설, 설문지
|
정의 명료화 + 설문문항 재정의
|
표집대상 불분명
|
연구방법
|
대상 명시 및 표본수 재산출
|
통계분석 미흡
|
분석계획
|
t-검정 → 회귀분석으로 수정
|
4단계: '바꿀 것' vs '유지할 것' 구분
모든 피드백이 바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교수님의 조언이 선택적 개선인지, 필수 수정인지 판단이 필요하죠.
- 필수 수정: 통계분석 방식, 연구모형 구성, 변수 정의 등
- 선택 사항: 이론적 근거 추가, 문장 스타일, 표현 방식 등
논문 초안 단계에서는 큰 뼈대부터 정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논문연구계획서 수정 혼자하기 어렵다면?
수정 방향은 알겠는데 막상 손이 안 가거나, SPSS 통계분석까지 생각하면 더 막막해지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럴 땐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퀵데이터의 논문컨설팅은 다음과 같은 부분까지 함께 지원합니다.
- 연구모형 및 변수 구조 재설계
- 논문 흐름 재정비 및 문장 보완
- 설문지 구조 조정 및 측정도구 개발
- SPSS, AMOS 등 통계분석 대행
- 논문 쉽게 작성하는 팁 지원

논문연구계획서 수정은 전략입니다
논문은 처음이 어렵고, 수정은 전략입니다. 무조건 다 고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구조의 일관성과 분석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개선해나가는 게 핵심입니다.
만약 지금 수정 방향이 막막하다면, 퀵데이터 논문컨설팅을 통해 체계적으로 시작해보세요.
논문연구계획서 문의: 1600-7473
퀵데이터 논문컨설팅 후기

'논문자료 > 논문작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논문 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통계 개념, 헷갈리는 개념 한방에 정리해 드려요. (0) | 2025.09.12 |
---|---|
논문 설문지, 5점? 7점? 몇 점 척도가 가장 좋을까요? (0) | 2025.09.09 |
[논문 아이디어] K-컬쳐와 대한민국 관광: 논문주제·연구모형·논문통계분석, 전략적인 논문작성법 (0) | 2025.09.01 |
음악학과 논문작성법, 예술성과 학문성을 연결하는 전략적 접근 (0) | 2025.08.28 |
논문연구계획서 발표 및 교수님 컨펌 후 연구계획서수정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