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설문지는 5점 척도가 좋을까요, 7점 척도가 좋을까요?"
논문 설문지 작성에서 가장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설문 문항은 다 작성했는데 몇 점 척도로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7점이 더 정밀해 보이는데 5점이 더 나을까요?"
"교수님이 척도를 다시 검토하라고 하는데..."
리커트 척도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설문 척도이지만, 적절한 점수 선택이 논문 통과를 좌우할 만큼 중요합니다.
리커트 척도란 무엇인가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태도, 인식, 만족도 등을 수치화하는 대표적 방법입니다.
설문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식으로 연속된 선택지를 부여하죠.
예시 설문문항 : “이 서비스에 만족합니다.”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이는 5점 리커트 척도입니다.
내 논문설문지는 몇 점 척도가 가장 적절할까요?
정답은 "연구 목적과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척도 구분
|
설명
|
적합한 경우
|
3점 척도
|
단순 만족/불만족
|
아동, 고령층 대상
|
4점 척도
|
중립 없음(짝수형)
|
명확한 태도 요구 시
|
5점 척도
|
중립 포함, 가장 널리 사용
|
일반 성인 대상 연구
|
6점 척도
|
응답 세분화, 중립 없음
|
태도 양극화 분석
|
7점 척도
|
민감도↑, 정교한 응답 유도
|
고차 분석, CFA/SEM
|
9점 척도
|
매우 정밀한 차이 측정
|
고급 연구, 인지/심리 측정
|
일반적으로 양적 논문에서는 5점 또는 7점 척도를 권장합니다.

통계분석 목적에 따른 척도 선택
구분
|
5점 척도
|
7점 척도
|
장점
|
- 가장 일반적이고 안전한 선택
- 응답자 부담이 적음 - 초보 연구자에게 적합 -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회귀분석에 무리 없음 |
- 민감도가 높아 세밀한 차이 포착 가능
- SEM, AMOS 등 고급 분석에 유리 - CFA(확인적 요인분석) 적합 |
단점
|
-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
- 응답 피로도 증가 우려
- 극단값 응답 가능성 있음 |
적합한 분석
|
- 기술통계, 평균 분석
- 상관분석 - t-검정, ANOVA - 다중회귀분석 |
- 구조방정식모형(SEM)
- 확인적 요인분석(CFA) - 복잡한 매개/조절효과 분석 |
TIP. 논문설문지 구성 시 고려하세요
- 논문 초심자 → 5점 척도로 시작해도 무방
- 고급 통계 계획 중이라면 → 7점 척도 고려
- 대상자가 일반인일 경우 → 5점이 응답 피로도 낮춰줌
논문에 척도 관련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나요?
<방법론>에서 이렇게 쓰세요: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에 대해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측정도구> 설명 시엔 이렇게: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에 대해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퀵데이터 Tip. 이런 경우라면 5점 or 7점 추천?
상황
|
추천 척도
|
석사 논문, 일반 사회과학 연구
|
5점
|
이론 기반, 구조방정식 포함
|
7점
|
표본수가 적고 설문 길면
|
5점
|
타당도, 민감도 강조
|
7점
|
초등학생, 고령자 대상
|
3점 또는 4점
|
논문 설문지 작성, 척도 선택이 고민될 땐? 퀵데이터 논문컨설팅으로
리커트 척도 선택은 논문의 품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결정입니다. 무작정 7점이 좋다거나 5점이 안전하다는 식으로 접근하지 말고, 여러분의 연구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세요.
성공적인 논문척도 선택의 핵심은!!
-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는 선택
- 분석 방법과의 연계성 고려
- 일관성 있는 척도 적용
- 필요시 전문가 조언 활용
내 논문에 사용되는 척도 선택부터 막막하다면,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퀵데이터와 상담해보세요.
논문작성 및 논문통계 문의 : 1600-7473
"논문설문지 구성부터 논문작성, 통계분석까지, 쉽괴 빠르게 해결하세요!"
퀵데이터 논문컨설팅 후기
'논문자료 > 논문작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논문 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통계 개념, 헷갈리는 개념 한방에 정리해 드려요. (0) | 2025.09.12 |
---|---|
논문연구계획서 수정, 순서와 우선순위부터 정리법_논문작성법 (0) | 2025.09.08 |
[논문 아이디어] K-컬쳐와 대한민국 관광: 논문주제·연구모형·논문통계분석, 전략적인 논문작성법 (0) | 2025.09.01 |
음악학과 논문작성법, 예술성과 학문성을 연결하는 전략적 접근 (0) | 2025.08.28 |
논문연구계획서 발표 및 교수님 컨펌 후 연구계획서수정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