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논문통계

[논문통계분석] 3편 군집분석 및 해석방법 / 계층적군집분석 / 비계층적군집분석 / SPSS를 이용한 군집분석 /통계분석 강의

”군집분석란 무엇인가요?“

“논문 작성할 때 군집분석 및 해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논문에서 사용되는 군집분석은 어떤 분석방법을 이용해야 하나요?”

”논문 작성할 때 군집분석은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군집분석의 계층적 군집, 비계층적 군집 분석의 차이는 뭔가요?”

 

예시를 이용한 군집분석 및 해석 강의

 

"통계분석을 위한 군집분석 튜토리얼: 대학원생 논문작성을 위한 실전 가이드"

논문통계분석 의뢰 1600-7473

 

▣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군집분석

■ 계층적 군집분석 방법

 

  • 분석 자료: 000 패널연구 자료
  • 분석 대상: 부모가 자녀에 대한 양육 행동 응답
  • 측정: 5점 척도 및 7점 척도 (표준화 변환)

“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등과 같은 온정적 태도

“ 아이가 내 말에 순종하도록 한다“ 등과 같은 통제적 양육태도

 

  • 군집의 수가 4개일 경우, 3개일 경우, 2개일 경우에 각 응답자가 어느 군집에 속하는지를 보여줌

  • 분석할 때 (저장 – 옵션_해법범위)를 지정해 주었기 때문에 군집분석결과가 새로운 데이터에 저장됨
  • 이 데이터(명목)를 활용하여 다른 변수와 비교 검증
  • 다른 명목척도와 교차분석
  • 간격 및 비율척도로 분산분석 가능

 

■ 비계층적(K평균) 군집분석 방법

 

 

  • 각 군집화 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새롭게 생성된 군집을 나타내는 명목척도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분산분석을 한 결과
  • 군집 간의 변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오면(분산분석 결과가 유의하면 군집이 잘 분류된 것으로 판단)
  • 비계층적 군집분석에서 나타나는 분산분석(ANOVA)표의 유의확률은 집단 간 평균이 동일하다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하면 안됨
  • 한 변수의 F값에 대한 유의확률이 낮다면 그 변수의 평균값은 군집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의미이고 결과적으로 군집을 구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다는 의미
  • 유의확률이 높을 경우 변수의 평균값은 군집 간 유사하다는 의미이고 군집 구별 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음을 의미

 

■ 비계층적(K평균) 군집분석 방법_교차분석

 

  • 새롭게 생성된 변수(QCL_1)를 이용하여 최종학력 간 비교분석

 

  •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 값이 .040으로 유의함
  • 군집에 따라 최종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

 

  • 온정이 높은 부모(70), 통제가 높은 부모(60), 엄마 무관심(57), 온정통제 모두 높은 부모(14)
  • 엄마의 무관심 집단은 고졸이 57.9%
  • 통제가 높은 부모 집단은 전문대학졸이 41.7%
  • 온정이 높은 부모 집단은 대학졸이 40.0%
  • 온정통제 모두 높은 부모 집단은 전문대졸과 대졸이 각 28.6%

 

■ 비계층적(K평균) 군집분석 방법_분산분석

 

  • 새롭게 생성된 변수(QCL_1)를 이용하여 대인관계능력과 스트레스 수준(5점 척도) 비교 검증

  • 대인관계능력과 스트레스수준에서 군집별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부모의 대인관계 능력과 스트레스 수준 모두 엄마의 무관심 집단이 온정통제 모두 높은 부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군집분석을 사용하는 연구에서 계층적 혹은 비계층적 군집분석 중 무엇이 나은가에 대한 정답은 없다. 계층적 군집분석은 어느 한 대상이 특정 군집에 속하면 다른 군집에 이동할 수 없고 이상값이 제거되지 않고 반드시 특정 군집에 속하게 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값을 제거해야 한다. 반면, 비계층적 군집분석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군집의 수를 사전에 연구자가 지정해야 한다. 합리적인 판단으로 군집 수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군집 수를 여러 번 실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 많은 연구에서도 그렇고 합리적인 방법은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 수를 정한 후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군집 수가 몇 개로 구분되는가보다 분석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각 군집의 명칭에 따른 의미 있고 해석 가능한 수준에서 분류하는 것이 좋다.

 

 

통계분석 군집분석 및 해석 3편이 궁금하다면 퀵데이터 논문통계 강의 보기▼▼▼

 

​"논문의 품질을 높이는 열쇠!!!

퀵데이터 논문통계분석을 통해 더욱 탄탄한 논문을 완성하세요."

퀵데이터 논문컨설팅은 논문 주제 선정부터, 연구모형, 통계분석, 심사 준비까지 전문 지도 박사님의 1:1 맞춤형 컨설팅 통해 효율적이고 빠른 논문작성을 도와드립니다. 논문 검토, 논문편집, 논문 통계분석까지 직접적인 컨설팅을 원한다면 퀵테이터에 문의하세요 상담문의 1600-7473​


홈페이지 : www.quickdata.co.kr 대표번호 : 1600-7473 e-mail : quickdata7@naver.com

논문컨설팅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