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논문통계 (70)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문 통계분석,통계해석, 표작성, 그림 작성까지 깔끔하게 하는 방법_퀵데이터에 알아봐요. 안녕하세요. 석사 논문 통계, 박사 논문 통계 막막하기만 하시지요. 목차 부터 어떻게 잡아야 할지ㅠ.ㅠ 무슨 분석을 활용해서 논문 통계분석 및 작성을 해야할지 어려우신가요? 오늘은 논문통계분석 목차순서, 표작성, 그림작성 등 어떻게 배치하고 해석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논문 통계분석 목차] Ⅳ. 실증 분석 및 결과 1.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 1) 표본의 일반적 사항 2) 표본의 기술적 통계 2. 상관관계분석 3. 타당성 및 신뢰도분석 1)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2) 확인적 요인분석 3) 타당성 분석 4. 가설검증 결과 1) 기본 가설검증 2) 매개효과 검증 3) 조절효과 검증 1.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 1) 표본의 일반적 사항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 보건의학 가설 검정(귀무가설,대립가설)하는 방법 알아보기_퀵데이터 보건의학의 가설검정에 대해 알아볼까요~~~ 보건의학에서는 '영가설'을 전제로 연구를 시작합니다. 새로운 치료법 효과를 입증할 때 "새로운 치료법은 효과가 없다"라는 가설을 전제로 시작하는데.이를 '영가설'이라 합니다. 연구자가 증명하고자 하는 실험가설과 반대의 입장, 증명되기 전까지는 효과나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을 귀무가설이라 하며, 반대로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 하는 가설, 영가설의 반대를 대립가설이라고 합니다. 귀무가설 H0 (영가설) 실험가설과 반대 입장. 효과 or 차이가 없다. 대립가설 H1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가설. 효과 or 차이가 있다. 실험결과 통계적 분석으로 p0 환자 300명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150명씩 배정하여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치료법1, 치료법.. 다중회귀분석_여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_동시입력방식과 단계선택방식 알아보기_퀵데이터 다중회귀분석은 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과 1개의 종속변수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고 간격척도 및 비율척도의 연속형 자료로 분석합니다. 실제 석사·박사 학위논문이나 기업에서는 보통 다중회귀분석이 많이 사용되고, 순서 및 명목척도일 경우 더미변수로 변화시켜 사용합니다. 다중회귀식은 다양한 추정방법(단계선택, 전진선택, 후진제거, 제거변수, 동시입력)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동시입력방식과 단계선택방식이 있습니다. 동시입력방식은 연구자가 고려하는 모든 독립변수들을 한꺼번에 포함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독립변수들이 통제된 상황에서 특정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고, 연구자가 고려하는 모든 독립변수들이 동시에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단계선택방식은 다른 변수들이 회.. 경영, 경제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가설검정에 대해 '퀵데이터'에서 알아볼까요?? 가설검정 [test of hypothesis] 정의 가설검정은 표본을 추출하여 얻은 표본통계량으로 모집단의 모수에 대한 새로운 예상과 가설 등이 옳다고 판단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가설이 객관적으로 옳은지 옳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절차입니다. *가설(hypothesis)이란? 두 개 이상의 변수 또는 현상 간의 관계를 검정가능한 형태로 서술한 문장으로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검정이 가능한 사실 예를들어... H고등학교 학생의 평균키가 165cm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자는 요즘 고등학생들은 영양상태가 좋아 발육이 빠르다 생각하고 'H고등학교 학생의 평균키는 165cm보다 클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가설검정 개념 대립가설 연구자가 새로이 주장하여 검정하고자.. 조사목적에 맞는 자료 수집방법. '퀵데이터'에서 '설문지 작성 방법' 알아보기 자료수집방법들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는 '설문지법'이 있습니다. 1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할 설문지를 적절하게 작성하는 일은 조사결과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수집된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기법도 제한하므로 조사자는 조사로부터 얻어내고자 하는 정보의 내용과 자료분석을 위해 적용하는 통계분석 기법까지 고려하여 설문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설문지는 조사목적에 맞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단입니다. 하지만 조사문제에 적용할 표준적인 설문지 작성법이 없으면, 조사에서 발견되는 오류의 20~30%가 그릇된 설문지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유념하고 설문지 작성을 해야 합니다. 설문지 작성 시 주의사항 설문지의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문.. 통계는 판단 자료의 하나! 퀵데이터에서 허위상관에 대해 알아볼까요? 상관을 알면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수있어요. 하지만 상관이 있어도 요인을 특정할 수는 없어요. 왜 그럴까요?? 예를들어 시별로 은행ATM기계수와 교통사고 관계를 그래표로 나타내볼께요. 표를 보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헉 그런다면...ATM기계 수가 많으면 교통사고 건수도 많아진다??? 왜??? 왜 그럴까요? 그런다면 ATM기계 수를 줄이면 교통사고가 줄어든다는 소리일까요? 결국 상관이 있다고 해도 인과관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운전시간? 교통량? 차종? 은행? 자동차보급률? ATM기계? 인구? 교통사고 발생 요인은 다양합니다. 그래서 둘 사이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검정해야 합니다. 교통사고와 ATM기계의 수 무엇과 관련돼 있을까요? 여러분은 아셨나요? 맞습니다. '인구'가 이 상관.. 다변량 분석의 첫걸음_ 상관계수와 산포도_원인과 결과 퀵데이터에서 알아보기 통계학은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만든 학문입니다. 통계 분석을 위해 수학의 힘을 빌리지만 통계학 수치는 어디까지나 판단 기준의 하나일 뿐입니다. 통계와 함께 경험이나 직감을 충분히 활용해 제대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간의 관계성 “두 데이터를 산포도와 상관분석으로 분석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의 임대료가 어떤 기준으로 정해졌을까요? 보통 건축년수, 입지, 설비, 방개수, 기타 등 요소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입지라는 요소가 아주 중요하죠. 역에서 집까지 거리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처럼 역까지 몇 분 걸리는지가 중요합니다. 집에서 역까지 소요시간과 부동산 가격을 아래 표와 같이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단, 기타 다른 조건은 같다고 가정합니다. 위 표.. P 값의 'P'는 뭘 까요?? 퀵데이터에서 알아봐요^^ P 〈 0.05 통계에서 사용하는 기호하면 우리가 가장 많이 본 P 일 것입니다. 학술지나 논문을 읽다 보면 P가 나옵니다. For example... · 시험약 투약 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남녀 간의 유의차를 인정하지 않았다 (P=0.07). · 약물 투여 후의 혈압 강하는 A 그룹이 B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P 이전 1 ··· 5 6 7 8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