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이 행하는 행동과 신념, 태도, 행동의도 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과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이 있습니다.
합리적 행동이론(TRA : Theory of Reasoned Action)
합리적 행동이론(TRA)은 개인적 요인(personal factor)인 행동과 태도 간의 관계는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인 주관적 규범이라는 두 가지 변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두 가지 변인이 선행요인으로서 작용하여 행동의도(behavior intention)에 유의미한 관계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러한 행동 의도는 사람들 간의 행동(behavior)과 관계가 있다는 행동모델 이론이다.
합리적 행위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예측,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다방면에서 적용되며, 예측하고자 하는 행동의 범위는 개인의 의지로 이루어지는 행동에 국한되어 있다(Kim & Cha, 2013).
실생활에서 완전히 인간의 의지로 통제가 가능한 상황은 많지 않고(Fishbein & Ajzen, 2010), 대부분의 행동은 인간의 의지로 완전한 통제가 가능한 것부터 통제가 되지 않는 행동까지 다양하고 연속적인 상황에서 진행된다(Godin et al., 1993).
행동을 실행하는 데 있어 기회, 자원, 기술은 필수적 조건이기 때문에 실제 행동은 완전히 통제가 불가능하다(Godin et al., 1993).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Ajzen(1985)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두 주요 개념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지각된 행동 통제력을 추가해 계획된 행동이론을 제안했다.

합리적 행동이론 모형(Fishbein & Ajzen, 1975)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사람들의 사회적 행동에서 결정적인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이다(Ajzen, 1991).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모델로서, 합리적 행동이론의 연장선에서 지각된 행동 통제(PBC: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요인이 추가되었다(Ajzen, 1991).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Ajzen, 1991)
사람들은 어떤 행동이 자신의 통제력 밖에 있다고 인지하게 되면, 그 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Terry & O’Leary, 1995), 개인의 행동은 그 행동에 대한 개인의 의도와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 통제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행동에 대한 태도에 더욱 우호적일수록,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그리고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클수록 행동을 실행하기 위한 의도는 커지고, 그리고 행동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지면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가정한다(Boudewyns, 2013).
즉 행동은 의도에 의해 예측될 있으며 의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필요하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핵심적 개념의 위치를 차지하며,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태도나 사회적 압력과 관계없이 높은 행동의도를 형성할 수 있다(Ajzen, 1991).
하지만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낮을 경우에는 아무리 태도가 긍정적이고 사회적 압력이 크다고 하더라도 높은 의도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Fishbein & Ajzen, 2010).
지각된 행동 통제력을 추가하면서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위 모형에 비해 이론적 우수성을 갖게 되었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체계적 구조를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행동 의도 및 행동에 대한 설명에 유용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모형이 필요할 때!!!
연구계획이 필요할 때!!!
설문작성이 필요할 때!!!
통계분석이 필요할 때!!!
논문 컨설팅이 필요할 때!!!
퀵데이터가 함께 합니다. ☎ 1600-7473
'연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유지하려는 본능. 불편함_긴장감_인지 부조화 이론 [ cognitive dissonance theory ]_퀵데이터 (0) | 2021.08.25 |
---|---|
인간의 행동 예측, 성격 차이가 행동양식에 미치는 영향은?_성격의 5요인 이론(Five Factors Theory)_퀵데이터 (0) | 2021.08.24 |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에 대해 알아보기_퀵데이터 (0) | 2021.08.20 |
SNS 소비자가 전달하는 정보의 영향력 확인_소비자의 태도변화 검증_정교화 가능성 모델(ELM)_퀵데이터 프로파일 데이터통계분석 (0) | 2021.08.19 |
경제분야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 개념 알아보기_퀵데이터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