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이론

자기결정성이론_인간의 성장경향과 심리적 욕구_ 동기부여 및 성격 설명 이론_퀵데이터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은 동기와 관련된 수많은 이론 중 많은 연구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이론이며, Ryan & Deci가 제안한 이론입니다.

자기결정성이론은 자기조절적 행동과 성격발달에 있어 내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인간의 동기와 성격에 대한 접근으로, 인간의 성장 경향성과 내적 기본심리 욕구에 관한 연구, 그리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들을 밝히는 연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University of Rochester professors Richard Ryan and Edward Deci are the founde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one of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ies of human motivation in contemporary behavioral science.

동기(MOTIVATION)

 

동기는 크게 두 가지인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로 구분할 수 있는데, Deci & Ryan(1985)은 인간이 특정 행동을 하게 만드는 힘이 개인의 내부에서 생겨난다고 하는 내재적 동기와 이와는 반대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으로 인해 개인이 특정 행동을 하게 된다는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자기결정성이론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포함한 동기 이론으로서 이러한 동기는 상호 대립적이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자율성이 있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Deci & Ryan, 1985).

따라서 내재적 동기는 개인의 내부로부터 발생되고, 외재적 동기는 외부 자극인 사회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현되고, 개인의 지각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자기결정성에 따른다고 할 수 있다(Lee, 2015; Deci & Ryan, 2002).

 

Ryan & Deci는 연구를 통해 흥미, 즐거움, 만족, 호기심과 같은 내재적 동기의 다양성을 검증하고, 사회적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외적인 보상과 같은 외재적 동기에 의하여 내재적 동기는 저해될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자율성, 관계성, 유능함과 같은 개인 욕구의 만족도에 따라 내재적 동기는 증진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곧 효율적인 활동과 삶의 만족도를 위한 외재적 동기와 같은 외부의 강한 자극보다는 내재적 동기와 같은 즐거움, 호기심, 만족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자기결정성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동기의 유형이 외재적 혹은 내재적으로 구분된다는 기존의 개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심리적 요인인 동기를 하나의 연속 선상에 존재할 수 있는 개념으로 확대한 이론이 자기결정성이론이다(Deci & Ryan, 1985; 2002).

 

자기결정성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데 있어서 자율성의 대소로 구분하고,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었을 때 자기결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외재적으로 동기화되었을 때 그것보다는 덜 자기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결정성이론의 매크로이론(macro-theory)을 구성하는 미니이론(mini-theory)은 6가지로,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유기적 통합이론(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인과지향성이론(causality orientations theory), 기본심리욕구이론(basic needs theory), 목표내용이론(goal content theory), 관계동기이론(relationship motivation theory)이 있다(Deci & Ryan, 2014).

 

자기결정성이론은 아래 그럼처럼 자기결정성의 연속성을 가정하였고, 자기결정성이 전체적으로 결여된 무동기에서부터 자기결정성이 높은 내재동기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는 네 가지 외재동기의 유형이 존재한다. 외적조절은 가장 통제된 외재동기이며, 내사조절에서 동일시조절, 통합된 조절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더 자기결정화 되는 것이다(Gagné & Deci, 2005; Ryan & Deci, 2000; Vansteenkiste et al., 2010).

Self-Determination Theory (Adapted from Ryan & Deci, 2000).

 

이러한 동기유형들은 무동기, 외적조절, 내사된 조절, 확인된 조절, 통합적 조절, 내재적 조절로 구분되며, 내재적 동기에서 무동기로 갈수록 자기결정력이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Ryan & Deci, 2000; 2004).

 

자기결정성의 내면화에 대한 모형은 어떤 특별한 행동과 관련하여 단계별로 반드시 움직여야 하는 발달단계에 대한 이론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 종류와 행동의 조절을 통합한 정도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조절의 유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즉, 사람들은 최적의 조건이 충족된다면, 언제나 새로운 조절유형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내면화될 수도 있다(Ryan & Deci, 2000).

 

자기결정성이론은 수년간 연구를 지속하면서 제안된 작은 이론들이 적합하다고 결정되어지면 하나씩 추가되어 왔고 계속해서 전체 이론을 형성해 가고 있다.

 


연구모형이 필요할 때!!!

​연구계획이 필요할 때!!!

설문작성이 필요할 때!!!

통계분석이 필요할 때!!!

논문 컨설팅이 필요할 때!!!

퀵데이터가 함께 합니다.

☎ 1600-7473

(주)한국교육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