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161) 썸네일형 리스트형 Soble-test 매개효과분석 방법 알아보기_스마트폰 감성요인과 지속사용의도 간 관계_소비자만족 매개효과_퀵데이터 Baron & Kenny가 제시한 절차에 따른 매개효과분석은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결과를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매개효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Sobel test를 이용하여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스마트폰의 감성적요인(심미적, 상징적, 쾌락적)이 소비자만족을 매개로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진행 독립변수(X) : 감성적요인(심미적, 상징적, 쾌락적) 종속변수(Y) : 지속사용의도 매개변수(M) : 소비자만족 분석방법은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방식대로 진행합니다. 먼저 1단계로 감성적요인이 소비자만족(X -> M)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합니다. R제곱은 0.623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62.3% 임.. Baron & Kenny의 매개효과분석 방법 알아보기_초등학생 사회적지지와 정서지능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분석_퀵데이터 매개효과 분석은 변수 X가 변수 M에 영향을 미치고 이어 차례로 마지막 변수 Y에 영향을 미치는 연쇄적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두 변수 X와 Y 간 관계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지 설명하는 변수 M이 매개변수가 됩니다. 매개변수는 두 변수가 영향 관계가 발생하는 이유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부모의 긍정적 자녀양육태도는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영향 관계는 자녀의 희망을 매개로 더 잘 설명될 수 있을 겁니다. 매개변수의 선정은 임의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 경험과 상식 등에 의한 분명하고 누구나 설득이 가능한 근거에 기반하여 정해야 합니다. 매개효과는 독립변수가 어떤 변수를 거쳐 종속변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간접효과라고도 합니..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_명목척도와 서열척도를 간격척도와 비율척도로 더미변환 알아보기_퀵데이터 회귀분석을 위해서 변수들이 모두 간격척도나 비율척도로 측정된 연속형 변수만 가능합니다. 회귀분석을 진행하면서 통제변수도 함께 투입할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연속형 독립변수와 연속형 통제변수로 측정되었다면 통제된 회귀분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범주형 독립변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회귀분석이 안되는 것입니다. 척도에 대해 알아보기 https://blog.naver.com/quickdata7/222346401754 척도에 따라 달라지는 통계분석 알아보기_명목척도, 서열척도, 간격척도, 비율척도 구분하기 자료수집은 모집단을 결정하고 표본을 선정한 후 그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설문지, 관... blog.naver.com 독립변수라도 명목이나 서열척도와 .. 다중회귀분석_여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_동시입력방식과 단계선택방식 알아보기_퀵데이터 다중회귀분석은 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과 1개의 종속변수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고 간격척도 및 비율척도의 연속형 자료로 분석합니다. 실제 석사·박사 학위논문이나 기업에서는 보통 다중회귀분석이 많이 사용되고, 순서 및 명목척도일 경우 더미변수로 변화시켜 사용합니다. 다중회귀식은 다양한 추정방법(단계선택, 전진선택, 후진제거, 제거변수, 동시입력)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동시입력방식과 단계선택방식이 있습니다. 동시입력방식은 연구자가 고려하는 모든 독립변수들을 한꺼번에 포함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독립변수들이 통제된 상황에서 특정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고, 연구자가 고려하는 모든 독립변수들이 동시에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단계선택방식은 다른 변수들이 회.. 단순회귀분석 알아보기 _광고비와 매출액의 영향 관계는?_퀵데이터 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간의 선형관계를 조사하는 것이고, 회귀분석은 한 변수를 독립변수로 또 다른 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단순회귀분석은 1개의 독립변수(원인_설명변수)와 종속변수(결과_반응변수)사이의 인과관계를 선형적 모형식으로 구성됩니다. 가장 기본적 회귀분석이고 상당 부분 상관분석과 유사한 부분이 많아요.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설정은 논리적 타당성을 근거로 해야 합니다. 논리적 근거 없이 분석했는데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더라도 두 변수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가장의 소득은 가구 지출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논리적 타당성을 갖지만, “가장의 몸무게는 가구 지출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 가설검증과 신뢰구간의 밀접한 관계 알아보기_퀵데이터 그룹 간 차이 검증은 P값으로 판단할 수 있고,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는 신뢰구간에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설검증과 신뢰구간에는 어떤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95%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 P 가설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차이일까?_퀵데이터 비교 차이 검증을 하는 연구에서 그룹 간 차이가 있는가 없는가는 가설검정에 의한 P값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연구 조사를 했다고 가정할게요. 목적 : 중국인은 미국인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있는 비율이 높은지 여부 조사 방법 : 중국인 50명과 미국인 5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의 감염 유무를 조사하고 가설검증은 Fisher`s exact test로 감염률을 비교하여 p 연구(조사)방법척도에 따라 달라지는 통계분석 알아보기_명목척도, 서열척도, 간격척도, 비율척도 구분_퀵데이터 배워봐요*^^* 자료수집은 모집단을 결정하고 표본을 선정한 후 그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설문지, 관찰, 인터뷰 등을 통해서 수집 방법을 결정하고 측정하게 되죠. 연구에 있어 측정은 표본이 가지고 있는 속성의 값을 일정한 규칙으로 만들어진 도구(척도)를 이용하여 계량화(수치)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척도는 관찰대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그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일종의 규칙을 말합니다. 척도로 측정된 값들이 갖는 의미와 특징에 따라 척도는 질적척도와 양적척도로 구분하고 크게 명목척도, 서열척도, 간격(등간)척도, 비율척도의 4가지로 구분됩니다. 질적변수 (비계량적) 질적척도 명목척도 관찰대상의 관심속성을 측정하여 그 값을 범주로 나타내고 모든 연산 등 수학함수 적용 불가능 eg)1.남 2.여, 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목록 더보기